포스트 판매·후원을 통해 적립한 '포스트 수익'과 멤버십 정기후원 가입자에게 지급받은 '멤버십 수익', 스토어 상품 판매를 통해 발생한 '스토어 수익'을 현금으로 출금할 때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포스타입은 크리에이터가 안정적인 수익을 바탕으로 창작 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수수료를 10%까지 인하했습니다.
포스트 판매·후원, 멤버십 수익의 경우 출금 신청 금액의 10%가 수수료로 발생합니다.
출금 신청 금액이 10,000원이라면 수수료 10%와 수수료에 대한 부가가치세 10%가 발생하여 8,900원을 정산받으실 수 있습니다.
스토어 상품 판매 수익의 경우 출금 신청 금액의 3%가 수수료(베타 기간 특별 수수료)로 발생합니다. (수수료 인하 기간: 2023년 2월 22일 ~ 2024년 1월 31일)
스토어 수수료는 포스트 판매·후원 및 멤버십에 적용되는 10%의 수수료와 중복 부과되지 않습니다. 즉, 출금 신청 금액이 10,000원이라면 수수료 3%와 수수료에 대한 부가가치세 10%가 발생하여 9,670원을 정산받으실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출금 시점(매달 1일) 적용되므로 수수료 인하 기간 동안 판매가 발생하더라도, 수수료 인하 기간 이후 수익 출금 시 인하된 수수료를 적용받을 수 없습니다.
포스타입은 하루 수십만 명이 찾는 서비스로, 서버 인프라, 네트워크 트래픽, 결제 시스템, 본인 인증 시스템 등 플랫폼 유지비와 서비스 개발, 운영을 위한 제반 비용에 대부분의 수수료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플랫폼 수수료 10% 중 금융사, 결제 대행사 등에 납부하는 금융 지출 비용이 약 5%에 해당합니다.
플랫폼 수수료 5% + 독자의 결제수단별 결제 수수료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 한 해외 플랫폼의 경우에도, 포스타입과 비슷한 수준인 통상 10% 정도의 수수료를 크리에이터가 플랫폼에 납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포스타입은 세법에 따라 수수료의 10%를 부가가치세로 대리 징수하고 있습니다. 부가가치세란 포스타입에 지불하는 수수료 및 국세청에 지불하는 종합소득세와는 다른 개념으로, 상품이나 서비스가 생산되거나 유통되는 모든 과정에서 새로 창출한 부가가치에 대해 일정 비율(10%) 발생하는 세금입니다.
수수료의 10%는 포스타입과 크리에이터 사이의 거래에서 발생한 포스타입 이용 수수료에 대한 부가가치세입니다. 부가가치세는 세법에 따라 가격에 포함되어 최종소비자가 부담합니다. 포스타입과 크리에이터 사이에서는 크리에이터가, 크리에이터와 독자 사이에서는 독자가 부담하는 금액입니다. 크리에이터가 부담하는 금액은 포스타입이 대리 징수하여 국가에 납부하게 되고, 독자가 부담하는 금액은 포스트 판매가에 포함됩니다.